맨위로가기

이집트 제1왕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집트 제1왕조는 기원전 32세기부터 기원전 30세기까지 이집트를 통치한 왕조이다. 이집트의 통일과 초기 국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나르메르 팔레트와 같은 유물을 통해 당시의 문화와 역사를 엿볼 수 있다. 초대 파라오인 메네스는 상하 이집트를 통일하고 멤피스를 건설했으며, 이후 호르-아하, 제르, 덴 등의 파라오들이 통치하며 왕권을 강화했다. 제1왕조 시대에는 이집트 상형 문자가 발전하고 건축, 예술, 조선 기술 등이 발달했다. 인신 제사와 같은 장례 의식도 존재했으나, 제2왕조로의 지배권 이전을 기점으로 쇠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31세기 이집트 - 제트 (파라오)
    제트는 이집트 제1왕조의 파라오로, 시리아 및 가나안과의 무역을 했으며 아비도스에 무덤이 있고, 그의 무덤에서 발견된 유물들은 당시 이집트 미술의 발달을 보여준다.
  • 기원전 31세기 이집트 - 제르 (파라오)
    제르는 이집트 제1왕조의 세 번째 파라오로, 아비도스 왕 목록에는 '이티'로 기록되어 있으며, 41년 전부와 일부 기간 동안 통치했고, 나일 삼각주 지역 방문 및 정복 활동, 아비도스 무덤과 순장묘, 오시리스 무덤 숭배 등의 특징을 가진다.
  • 기원전 29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2왕조
    이집트 제2왕조는 기록이 부족하여 정확한 역사 파악이 어렵지만, 마네토의 기록과 고고학적 자료를 통해 일부 파라오의 이름과 재위 기간, 왕권 변화와 상·하 이집트 통일 시도, 그리고 마지막 왕 카세켐위 시대에 왕권 안정화 후 제3왕조로의 전환을 확인할 수 있는 고대 이집트 왕조이다.
  • 기원전 29세기 이집트 - 라네브
    라네브는 이집트 제2왕조의 파라오로, 그의 세레크 이름은 태양 상형 문자를 사용하여 학자들의 관심을 끌었으며, 호루스와 세트의 균형을 유지하려던 종교적 특징을 보이나, 통치 기간에 대한 기록은 불분명하다.
  • 기원전 30세기 이집트 - 세메르케트
    세메르케트는 이집트 제1왕조 파라오로 통치 기간과 왕위 찬탈 논쟁이 있으며 네브티 칭호를 사용한 최초의 왕으로, 람세스 시대 서기관들이 그의 이름을 표기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무덤 발굴을 통해 초기 왕조 시대의 매장 방식을 보여주며, 통치 기간 동안 왕실 영지 건설과 세금 징수 축제가 있었으나 "이집트의 파괴" 사건이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고 현대 학자들은 그의 왕위 찬탈 가능성에 회의적이다.
  • 기원전 30세기 이집트 - 카아
    카아는 고대 이집트 제1왕조의 파라오로, 기원전 2916년경에 26년 동안 통치했으며, 왕위 쟁탈전 이후 호텝세켐위가 제2왕조를 시작했다는 가설이 있다.
이집트 제1왕조
개요
나르메르 팔레트 (기원전 3200–3000년)
나르메르 팔레트 (기원전 3200–3000년)
역사
존속 기간기원전 3100년경 – 기원전 2900년경
이전 국가이집트 선왕조 시대
계승 국가이집트 제2왕조
수도티니스
정치
정치 체제절대 군주제
언어 및 종교
공용어이집트어
종교고대 이집트 종교

2. 역사

나르메르 팔레트

  • 나르메르 (재위기간 30년 이상) : 마네토가 기록한 메네스와 동일 인물로 추정될 수 있다. 상하이집트를 통일한 왕. 나르메르 전에 '전갈'이라는 왕이 있었다는 설이 있다. 수도인 멤피스를 건설했다.
  • 호르-아하 : (기원전 3050년경) 나르메르의 아들로 추정되며, 통일 왕권을 확립하였다.
  • 제르 (재위기간 57년) : (기원전 3050년경 ~ 기원전 2990년경)
  • (메르네이트) : 제르의 왕비로 이 어렸을 때 섭정했을 가능성이 있다.
  • 제트 (기원전 2980년경)
  • (재위기간 14~20년) : (기원전 2970년경)
  • 아네지브 (재위기간 26년) : 후계자인 세메르케트와 갈등이 있었다.
  • 세메르케트 (재위기간 9~18년)
  • 카아 (재위기간 26년?)
  • 네페르카 : 마지막 파라오

이 왕조에 대한 정보는 몇몇 기념물과 왕의 이름을 새긴 다른 물건들, 가장 중요한 것으로는 나르메르 팔레트와 나르메르 곤봉 머리, 덴과 카아 왕 목록에서 얻을 수 있다.[4][5][6] 첫 두 왕조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팔레르모 석에 새겨진 간결한 목록을 제외하고는 남아 있지 않다. 마네토의 ''아이깁티아카''에 나오는 이야기는 고고학적 증거와 다른 역사적 기록과 모순된다. 마네토는 제1왕조의 통치자 아홉 명의 이름을 언급하는데, 그중 단 한 명의 이름만이 다른 자료와 일치하며, 그들 중 4명에 대한 정보만 제공한다.[7] 이집트 상형 문자는 당시 완전히 발전되었으며, 그 형태는 3천 년 이상 거의 변화 없이 사용되었다.

알레나 부이스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아비도스에 있는 왕족 무덤에서 발견된 제1왕조 두개골에 대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케르마 쿠시 왕국과 상 나일 계곡 집단과의 더 큰 친족 관계를 보여주었다.[9] 또한, 분석 결과 이전의 두개골 계측 경향과 분명한 변화가 발견되었으며, "하 이집트, 마그레브 및 유럽 패턴도 관찰되어 큰 다양성을 보였다." 북부 관리들의 유전자 흐름과 중요한 남부 도시로의 이동이 이러한 발견을 설명할 수 있다.[10]

나르메르 팔레트


헤로도토스마네토의 기록에 따르면, 제1왕조의 초대 파라오는 메네스였다. 그는 상하 이집트를 통합한 후, 그 경계 근처에 새로운 왕도 '''이네브 헤지'''(후의 멤피스)를 건설했다고 한다.[18] 하지만 헤로도토스와 마네토 모두 제1왕조보다 2000년 이상 후의 인물이며, 그들의 기록이 그대로 사료를 전달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는 없지만, 후대의 이집트 고대 왕조 사람들에게 메네스로부터 시작되는 역사가 전해졌다는 것은 확실하다.

아비도스 유적에서 발견된, 고대 이집트의 왕명을 기록한 봉니에 의해 전해지는 제1왕조의 왕은 초대 나르메르, 2대 아하, 3대 제르로 이어지며, 메네스의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메네스를 실존 인물로 보고, 나르메르, 아하, 또는 다른 왕 중 한 명과 동일 인물로 보는 수많은 연구가 있지만, 현재까지 정설은 없다. 이 중에서는 특히 메네스=나르메르설과 메네스=아하설이 유력하다. 메네스를 나르메르에 비정하는 설의 근거는 나르메르 팔레트라고 불리는 동시대의 출토물에, 상 이집트의 왕 나르메르가 하 이집트를 정복하고, 그 왕위를 얻었다는 기록이 있다는 것이며, 상하 이집트의 통일이나 "최초의 왕"이라는 점을 중시한다면 메네스는 나르메르가 된다. 한편 메네스를 아하에 비정하는 설의 근거는, 아하의 호루스 명(왕명)과 함께 네브티 명 (두 여신 명) "'''멘'''"이 기록된 상아제 라벨이 발견되었다는 것과, 제1왕조의 대규모 분묘 건설이 시작되는 것이 확인되는 것이 아하의 치세부터라는 것이다. 유사한 이름이나 멤피스의 건설로 상징되는 건축 사업을 중시한다면, 메네스는 아하라는 것이 된다. 양자를 포괄하는 설로, 메네스의 전설은, 제1왕조나 제2왕조의 여러 왕의 업적이 집약되어 생겨난 것이라는 설도 있다[19].

비교적 동시대에 가까운 사료에 기초한 제1왕조의 역사로는, 상 이집트에 있던 왕국의 왕이었던 나르메르는 하 이집트를 정복하여 이집트를 통일하고, 리비아팔레스타인 방면까지 원정을 행하여 이집트의 세력을 확대했다. 나르메르의 뒤를 이은 아하는 나일강을 거슬러 올라가 제1폭포 부근까지, 제3대 제르는 더 나아가 나일강을 거슬러 올라가 제2폭포 부근까지 원정대를 파견했고, 또한 시나이 반도를 정복했다.[20] 제르에 의해 시나이 반도에 있는 동광산이 왕가의 독점 권한이 되었고, 왕권이 현저하게 강화된 것으로 생각된다.[21] 제4대 제트의 치세는 기록이 없어 알 수 없다. 제5대 의 치세에는, 상하 이집트를 통치하는 왕으로서의 왕권 이념이 확립되었다. 그의 시대에 관료제나 징세 제도의 정비가 시도되었다.[22] 덴 이후의 제1왕조의 기록은 빈약하며, 어떻게, 어떤 이유로 쇠망했는지는 알 수 없다. 기원전 29세기 초, 또는 그 전후 시대에 이집트 제2왕조로 지배권이 넘어간 것으로 생각된다.

2. 1. 건국과 통일

이집트 제1왕조에 대한 정보는 나르메르 팔레트, 나르메르 곤봉 머리, 덴과 카아 왕 목록 등 왕의 이름을 새긴 유물들을 통해 얻을 수 있다.[4][5][6] 팔레르모 석에는 간결한 목록 형태로 첫 두 왕조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지만, 마네토의 ''아이깁티아카''는 고고학적 증거 및 다른 역사적 기록과 모순된다.[7] 마네토는 제1왕조의 통치자 아홉 명을 언급했지만, 그중 한 명만이 다른 자료와 일치하며, 네 명에 대한 정보만 제공한다.[7] 당시 이집트 상형 문자는 완전히 발전된 형태였으며, 3천 년 이상 거의 변화 없이 사용되었다.

파라오의 거대한 무덤은 아비도스나카다에 있으며, 멤피스 근처 사카라헬완의 묘지에서는 나무와 진흙 벽돌로 주로 지어진 구조가 발견된다. 벽과 바닥에는 약간의 돌이 사용되었다. 돌은 장식품, 용기, 조각상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타마리스크(소금 시더)는 아비도스 배와 같은 배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고정된 장부이음은 지중해와 이집트 조선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가 되었다.[8]

아비도스 왕족 무덤에서 발견된 제1왕조 두개골 연구는 케르마 쿠시 왕국 및 상 나일 계곡 집단과의 친족 관계를 보여주었다.[9] 또한, 이전의 두개골 계측 경향과 변화가 발견되었으며, "하 이집트, 마그레브 및 유럽 패턴도 관찰되어 큰 다양성을 보였다." 북부 관리들의 유전자 흐름과 남부 도시로의 이동이 이러한 발견을 설명할 수 있다.[10]

헤로도토스마네토의 기록에 따르면, 제1왕조의 초대 파라오는 메네스였다. 그는 상하 이집트를 통합한 후, 경계 근처에 새로운 왕도 '''이네브 헤지'''(멤피스)를 건설했다고 한다.[18] 그러나 헤로도토스와 마네토는 제1왕조보다 2000년 이상 후의 인물이며, 그들의 기록이 그대로 사료를 전달하는 것으로 간주하기는 어렵다.

아비도스 유적에서 발견된 고대 이집트 왕명을 기록한 봉니에 의해 전해지는 제1왕조의 왕은 초대 나르메르, 2대 아하, 3대 제르로 이어지며, 메네스의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메네스를 실존 인물로 보고, 나르메르, 아하, 또는 다른 왕 중 한 명과 동일 인물로 보는 수많은 연구가 있지만, 정설은 없다. 나르메르의 팔레트에는 상 이집트 왕 나르메르가 하 이집트를 정복하고 왕위를 얻었다는 기록이 있어, 메네스=나르메르 설이 제기된다. 한편, 아하의 호루스 명과 함께 네브티 명 "'''멘'''"이 기록된 상아제 라벨이 발견되었고, 제1왕조의 대규모 분묘 건설이 아하 치세부터 시작되어 메네스=아하 설이 제기된다. 메네스의 전설은 제1왕조나 이집트 제2왕조 여러 왕의 업적이 집약되어 생겨난 것이라는 설도 있다.[19]

상 이집트 왕국의 왕이었던 나르메르는 하 이집트를 정복하여 이집트를 통일하고, 리비아팔레스타인 방면으로 원정하여 이집트 세력을 확대했다. 나르메르의 뒤를 이은 아하는 나일강을 거슬러 올라가 제1폭포 부근까지, 제3대 제르는 제2폭포 부근까지 원정대를 파견했고, 시나이 반도를 정복했다.[20] 제르에 의해 시나이 반도 동광산이 왕가 독점 권한이 되었고, 왕권이 강화된 것으로 생각된다.[21] 제4대 제트의 치세는 기록이 없어 알 수 없다. 제5대 의 치세에는 상하 이집트를 통치하는 왕으로서의 왕권 이념이 확립되었고, 관료제나 징세 제도가 정비되었다.[22] 덴 이후 제1왕조의 기록은 빈약하며, 기원전 29세기 초, 또는 그 전후 시대에 이집트 제2왕조로 지배권이 넘어간 것으로 생각된다.

2. 2. 발전과 쇠퇴

헤로도토스마네토의 기록에 따르면, 제1왕조의 초대 파라오는 메네스였다. 그는 상하 이집트를 통합한 후, 그 경계 근처에 새로운 왕도 '''이네브 헤지'''(후의 멤피스)를 건설했다고 한다.[18] 하지만 헤로도토스와 마네토 모두 제1왕조보다 2000년 이상 후의 인물이며, 그들의 기록이 그대로 사료를 전달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는 없지만, 후대의 이집트 고대 왕조 사람들에게 메네스로부터 시작되는 역사가 전해졌다는 것은 확실하다.

아비도스 유적에서 발견된, 고대 이집트의 왕명을 기록한 봉니에 의해 전해지는 제1왕조의 왕은 초대 나르메르, 2대 아하, 3대 제르로 이어지며, 메네스의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메네스를 실존 인물로 보고, 나르메르, 아하, 또는 다른 왕 중 한 명과 동일 인물로 보는 수많은 연구가 있지만, 현재까지 정설은 없다. 이 중에서는 특히 메네스=나르메르설과 메네스=아하설이 유력하다. 메네스를 나르메르에 비정하는 설의 근거는 나르메르의 팔레트라고 불리는 동시대의 출토물에, 상 이집트의 왕 나르메르가 하 이집트를 정복하고, 그 왕위를 얻었다는 기록이 있다는 것이며, 상하 이집트의 통일이나 "최초의 왕"이라는 점을 중시한다면 메네스는 나르메르가 된다. 한편 메네스를 아하에 비정하는 설의 근거는, 아하의 호루스 명(왕명)과 함께 네브티 명 (두 여신 명) "'''멘'''"이 기록된 상아제 라벨이 발견되었다는 것과, 제1왕조의 대규모 분묘 건설이 시작되는 것이 확인되는 것이 아하의 치세부터라는 것이다. 유사한 이름이나 멤피스의 건설로 상징되는 건축 사업을 중시한다면, 메네스는 아하라는 것이 된다. 양자를 포괄하는 설로, 메네스의 전설은, 제1왕조나 제2왕조의 여러 왕의 업적이 집약되어 생겨난 것이라는 설도 있다[19].

비교적 동시대에 가까운 사료에 기초한 제1왕조의 역사로는, 상 이집트에 있던 왕국의 왕이었던 나르메르는 하 이집트를 정복하여 이집트를 통일하고, 리비아팔레스타인 방면까지 원정을 행하여 이집트의 세력을 확대했다. 나르메르의 뒤를 이은 아하는 나일강을 거슬러 올라가 제1폭포 부근까지, 제3대 제르는 더 나아가 나일강을 거슬러 올라가 제2폭포 부근까지 원정대를 파견했고, 또한 시나이 반도를 정복했다.[20] 제르에 의해 시나이 반도에 있는 동광산이 왕가의 독점 권한이 되었고, 왕권이 현저하게 강화된 것으로 생각된다.[21] 제4대 제트의 치세는 기록이 없어 알 수 없다. 제5대 의 치세에는, 상하 이집트를 통치하는 왕으로서의 왕권 이념이 확립되었다. 그의 시대에 관료제나 징세 제도의 정비가 시도되었다.[22] 덴 이후의 제1왕조의 기록은 빈약하며, 어떻게, 어떤 이유로 쇠망했는지는 알 수 없다. 기원전 29세기 초, 또는 그 전후 시대에 이집트 제2왕조로 지배권이 넘어간 것으로 생각된다.

2. 3. নিষ্ঠুর 밍 풍습

인신 제사는 제1왕조의 모든 파라오와 관련된 장례 의식의 일부로 행해졌다. 이 왕조 동안에는 각 파라오의 무덤 근처에 시종들이 매장되고, 장례를 위해 동물이 희생되는 것으로 분명히 나타난다. 제르의 무덤은 338명의 개인의 매장과 관련이 있다. 당나귀와 같이 희생된 사람과 동물은 파라오가 사후 세계에서 돕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 알 수 없는 이유로, 이 관습은 왕조가 끝날 때 중단되었다.

역사학자이자 언어학자인 크리스토퍼 에레트에 따르면, 시종 희생 의식은 중부 나일강의 남부 지역에서 유래되었다. 에레트는 또한 이 문화적 관습이 상부 누비아 나일강 지역의 케르마 왕국과 공유되었다고 말했다.[11]

3. 역대 파라오

나르메르메네스와 동일인물로 여겨지며, 상이집트와 하 이집트를 통일한 인물로 추정된다. 네이트호테프와 결혼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호르-아하의 아버지이다. 그는 30년 이상 재위하였고, 수도인 멤피스를 건설했다.

호르-아하나르메르와 네이트호테프의 아들로, 켄타프, 베네리브와 결혼했다. 제르의 아버지이며, 기원전 3100년경에 재위하여 통일 왕권을 확립하였다. 그는 누비아인에 대한 원정을 이끌었다.

제르호르-아하의 아들이며, 제트와 메르네이트의 아버지이다. 기원전 3000년경부터 54년간 재위하였다.[12] 그의 황금 이름은 ''인-네브''이며, 그리스 형태로는 ''우에네페스''이다. 그의 무덤은 나중에 오시리스의 전설적인 무덤으로 여겨졌다.

제트는 메르네이트의 배우자이자 덴의 아버지로, 기원전 2980년경부터 10년간 재위했다.[13] 그리스 형태는 ''우사파이스''이며, 아하네이트와 결혼했을 가능성이 있다.

메르네이트는 덴의 어머니로, 아마도 최초의 여성 파라오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녀는 아들 덴의 섭정으로 통치하거나, 왕/여왕과 섭정으로 통치했을 가능성이 있다. 메르네이트는 제트와 덴 근처에 묻혔으며, 그녀의 무덤은 그 시대 다른 왕들의 무덤과 같은 규모이다.[15][16]

덴은 메르네이트와 제트의 아들로, 기원전 2970년경부터 42년간 재위했다.[13] 그리스 형태는 ''켄케네스''이며, 이집트의 이중 왕관을 착용한 최초의 파라오이자 완전한 ''니스위트 비티'' 이름을 가진 최초의 파라오이다.[14]

아네지브는 덴의 아들로, 기원전 2930년경부터 8~10년간 재위했다. 그리스 형태는 ''미에비도스''이며, 그의 불길한 ''네브위'' 칭호로 알려져 있다.[17]

세메르케트아네지브의 아들로, 기원전 2920년경부터 8년 반 동안 재위했다.[13] 그리스 형태는 ''셈렘프세스''이며, 완전히 발전된 넵티 이름을 가진 최초의 이집트 통치자이다. 그의 재위 기간 전체는 카이로 석에 보존되어 있다.

카아는 세메르케트의 아들로, 기원전 2910년경부터 33년간 재위했다. 그리스 형태는 ''비에네체스''이며, 오랫동안 통치했으며, 그의 무덤은 부속 무덤이 있는 마지막 무덤이다.

스네페르카와 호루스 버드는 매우 짧은 기간 동안 재위했으며, 정확한 연대기적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들은 기원전 2900년경에 재위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름내용재위 시작재위 기간가족
나르메르메네스와 동일인물로 여겨지며 상이집트와 하 이집트를 통일한 인물로 여겨진다. 네이트호테프와 결혼했을 가능성이 있다.기원전 3273–2987년경네이트호테프와 결혼, 호르-아하의 아버지
호르-아하누비아인에 대한 원정을 이끌었다. 베네리브와 켄타프와 결혼했다.기원전 3100년경나르메르와 네이트호테프의 아들, 켄타프, 베네리브의 배우자, 제르의 아버지
제르그의 이름과 칭호는 팔레르모 석에 나타난다. 그의 무덤은 나중에 오시리스의 전설적인 무덤으로 여겨졌다.기원전 3000년경54년[12]호르-아하의 아들, 제트와 메르네이트의 아버지
제트아하네이트와 결혼했을 가능성이 있다.기원전 2980년경10년[13]메르네이트의 배우자, 덴의 아버지
이집트의 이중 왕관을 착용한 최초의 파라오, 완전한 니스위트 비티 이름을 가진 최초의 파라오.기원전 2970년경42년[13]메르네이트와 제트의 아들
메르네이트아마도 최초의 여성 파라오 (혹은 아들 덴의 섭정으로 통치하거나, 왕/여왕과 섭정으로 통치). 메르네이트는 제트와 덴 근처에 묻혔다. 그녀의 무덤은 그 시대 다른 왕들의 무덤과 같은 규모이다.[15]기원전 2950년경[16]덴의 어머니
아네지브그의 불길한 네브위 칭호로 알려져 있다.[17]기원전 2930년경8–10년덴의 아들
세메르케트완전히 발전된 넵티 이름을 가진 최초의 이집트 통치자. 그의 재위 기간 전체는 카이로 석에 보존되어 있다.기원전 2920년경[13]아네지브의 아들
카아오랫동안 통치했으며, 그의 무덤은 부속 무덤이 있는 마지막 무덤이다.기원전 2910년경33년세메르케트의 아들, 호텝세켐위의 아버지
스네페르카매우 짧은 재위 기간, 정확한 연대기적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음.기원전 2900년경
호루스 버드매우 짧은 재위 기간, 정확한 연대기적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음.기원전 2900년경


3. 1. 개요

3. 2. 마네토의 기록

마네토에 따르면 이집트 제1왕조의 파라오는 다음과 같다.[23]

'''마네토의 기록에 따른 제1왕조 파라오 일람'''
왕명마네토에 따른 비고
메네스하마에게 물려 죽었다
아토티스멤피스에 궁전을 지었다. 의술에 조예가 깊어 그의 저작이 현존한다
켄케네스
우에네페스그는 코코메 근교에 피라미드를 여러 채 지었다
우사파이스
미에비스
세멘프세스
비에네케스



마네토가 기록한 메네스나르메르와 동일 인물로 추정될 수 있다. 호르-아하는 그리스 형태의 이름으로 ''아토티스''라고 불렸다. 제르는 그리스 형태의 이름으로 ''우에네페스''라고 불렸으며, 그의 황금 이름 ''인-네브''를 따서 지어졌다. 제트는 그리스 형태의 이름으로 ''우사파이스''라고 불렸다. 덴은 그리스 형태의 이름으로 ''켄케네스''라고 불렸는데, 그의 출생 이름인 ''켄켄''의 라메시드 발음에 따른 것이다.[14] 아네지브는 그리스 형태의 이름으로 ''미에비도스''라고 불렸다. 세메르케트는 그리스 형태의 이름으로 ''셈렘프세스''라고 불렸다. 카아는 그리스 형태의 이름으로 ''비에네체스''라고 불렸다.

3. 3. 고고학 자료

이집트 제1왕조의 통치자들에 대한 정보는 주로 고고학적 자료를 통해 얻어졌다. 나르메르는 상이집트와 하 이집트를 통일한 왕으로, 메네스와 동일인물로 여겨진다. 나르메르 팔레트는 그의 업적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호르-아하나르메르의 아들로, 통일 왕권을 확립하였다. 제르는 57년간 재위하며 왕조의 기틀을 다졌다. 제트, 등의 파라오들이 그 뒤를 이었다. 메르네이트는 이집트 최초의 여성 파라오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섭정으로 통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네지브세메르케트는 왕위 계승을 둘러싸고 갈등을 겪었다. 카아는 제1왕조의 마지막 파라오로 알려져 있다.

다음은 고고학 자료를 통해 알려진 제1왕조의 파라오 목록이다.

이름사진내용재위 시작재위 기간가족
나르메르
110px
메네스와 동일인물로 여겨지며 상이집트와 하 이집트를 통일한 인물로 여겨진다. 네이트호테프와 결혼했을 가능성이 있다.기원전 3273–2987년경네이트호테프와 결혼, 호르-아하의 아버지
호르-아하
110px
그리스 형태: 아토티스. 누비아인에 대한 원정을 이끌었다. 베네리브와 켄타프와 결혼했다.기원전 3100년경나르메르와 네이트호테프의 아들, 켄타프, 베네리브의 배우자, 제르의 아버지
제르
110px
그리스 형태: 우에네페스 (그의 황금 이름 인-네브를 따서); 그의 이름과 칭호는 팔레르모 석에 나타난다. 그의 무덤은 나중에 오시리스의 전설적인 무덤으로 여겨졌다.기원전 3000년경54년[12]호르-아하의 아들, 제트와 메르네이트의 아버지
제트
110px
그리스 형태: 우사파이스. 아하네이트와 결혼했을 가능성이 있다.기원전 2980년경10년[13]메르네이트의 배우자, 덴의 아버지
110px
그리스 형태: 켄케네스 (그의 출생 이름인 켄켄의 라메시드 발음에 따름[14]). 이집트의 이중 왕관을 착용한 최초의 파라오, 완전한 니스위트 비티 이름을 가진 최초의 파라오.기원전 2970년경42년[13]메르네이트와 제트의 아들
메르네이트
154x154px
아마도 최초의 여성 파라오기원전 2950년경[16]덴의 어머니
아네드지브
110px
그리스 형태: 미에비도스. 그의 불길한 네브위 칭호로 알려져 있다.[17]기원전 2930년경8–10년덴의 아들
세르케트
110px
그리스 형태: 셈렘프세스. 완전히 발전된 넵티 이름을 가진 최초의 이집트 통치자. 그의 재위 기간 전체는 카이로 석에 보존되어 있다.기원전 2920년경[13]아네드지브의 아들
카아
110px
그리스 형태: 비에네체스. 오랫동안 통치했으며, 그의 무덤은 부속 무덤이 있는 마지막 무덤이다.기원전 2910년경33년세르케트의 아들, 호텝세켐위의 아버지
스네페르카
110px
매우 짧은 재위 기간, 정확한 연대기적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음.기원전 2900년경
호루스 버드
110px
매우 짧은 재위 기간, 정확한 연대기적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음.기원전 2900년경


4. 문화

4. 1. 건축

4. 2. 예술

4. 3. 문자

이집트 제1왕조에 대한 정보는 나르메르 팔레트, 나르메르 곤봉 머리, 덴과 카아 왕 목록과 같은 몇몇 기념물과 왕의 이름을 새긴 물건들에서 얻을 수 있다.[4][5][6] 팔레르모 석에 새겨진 간결한 목록을 제외하고는 첫 두 왕조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마네토의 ''아이깁티아카''에 나오는 이야기는 고고학적 증거 및 역사적 기록과 모순된다. 마네토는 제1왕조의 통치자 아홉 명의 이름을 언급하는데, 그중 단 한 명의 이름만이 다른 자료와 일치하며, 그들 중 4명에 대한 정보만 제공한다.[7] 이집트 상형 문자는 당시에 완전히 발전되었으며, 그 형태는 3천 년 이상 거의 변화 없이 사용되었다.

파라오의 거대한 무덤이 아비도스나카다에 있으며, 멤피스 근처 사카라헬완의 묘지 외에도, 나무와 진흙 벽돌로 주로 지어진 구조가 발견되며, 벽과 바닥에는 약간의 돌이 사용되었다. 돌은 장식품, 용기, 때로는 조각상을 만드는 데 많이 사용되었다. ''Tamarix''(타마리스크 또는 소금 시더)는 아비도스 배와 같은 배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가장 중요한 토착 목공 기술 중 하나는 고정된 장부이음이다. 고정된 장부는 한 목재의 끝을 다른 목재에 잘린 장부(구멍)에 맞게 성형하여 만들었다. 이음새 변형은 자유 장부를 사용하여 결국 지중해와 이집트 조선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가 되었다. 그것은 두 개의 판자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별도의 장부를 각각의 구성 요소에 잘린 해당 크기의 구멍(장부)에 삽입하여 연결한다.[8]

아비도스에 있는 왕족 무덤에서 발견된 제1왕조 두개골에 대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케르마 쿠시 왕국과 상 나일 계곡 집단과의 더 큰 친족 관계를 보여주었다.[9] 또한, 분석 결과 이전의 두개골 계측 경향과 분명한 변화가 발견되었으며, "하 이집트, 마그레브 및 유럽 패턴도 관찰되어 큰 다양성을 보였다." 북부 관리들의 유전자 흐름과 중요한 남부 도시로의 이동이 이러한 발견을 설명할 수 있다.[10]

4. 4. 조선 기술

참조

[1] 논문 Who was Menes? http://www.narmer.or[...]
[2] 논문 An absolute chronology for early Egypt using radiocarbon dating and Bayesian statistical modelling 2013-09-04
[3] 논문 Radiocarbon-Based Modeling of the Reign of King den (1St Dynasty, Egypt) and the Start of the Old Kingdom 2023
[4] 간행물 Xoomer http://xoomer.virgil[...] Virgilio
[5] 웹사이트 The Narmer Catalog http://narmer.org/in[...] 2020-02-08
[6] 웹사이트 The Narmer Catalog http://narmer.org/in[...] 2020-02-19
[7] 문서 Manetho, Fr. 6, 7a, 7b. Text and translation in ''Manetho'', translated by W.G. Waddell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1940), pp. 27–35
[8] 논문 Predynastic and Early Dynastic Art https://pressbooks.b[...] 2022
[9] 논문 Further studies of crania from ancient Northern Africa: An analysis of crania from First Dynasty Egyptian tombs, using multiple discriminant functions https://onlinelibrar[...] 1992
[10] 논문 Further studies of crania from ancient Northern Africa: An analysis of crania from First Dynasty Egyptian tombs, using multiple discriminant functions https://www.academia[...] 1992
[11] 서적 Ancient Africa: A Global History, to 300 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3-06-20
[12] 서적 Untersuchungen zur Thinitenzeit Harrassowitz, Wiesbaden
[13] 서적 Untersuchungen zur Thinitenzeit (Agyptologische Abhandlungen) O. Harrassowitz
[14] 서적 The Royal Tombs of the Earliest Dynast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서적 Chronicle of the Queens of Egypt Thames & Hudson
[16] 서적 Before the Pyramids, The Origins of Egyptian Civilization The Oriental Institute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17]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Blackwell, Oxford UK/ Cambridge USA
[18] 문서 イネブ・ヘジは白い壁という意味で、メンフィスの古い名である。メンフィスと言う名は、近郊の[[サッカラ]]にある[[ペピ1世]]のメンネフェル・ペピと呼ばれたピラミッドの呼び名が都市の名前(メンネフェル)として用いられたことから普及した名である。
[19] 문서 詳細は[[エジプト初期王朝時代]]を参照
[20] 문서 屋形ら 1998
[21] 문서 屋形ら 1998
[22] 문서 屋形ら 1998
[23] 문서 [[プトレマイオス朝]]時代のこと。2006年現在には現存しない。
[24] 문서 혼란기로 통일왕조 없음
[25] 문서 또는 상하(=남북)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26] 서적 "The Pageant of World History" https://archive.org/[...] Allyn & Bacon
[27] 서적 육식의 종말 시공사 2007-08-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